'가마솥과 구들장'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0.11.15 청상 6
이웃.동네.세상2010. 11. 15. 23:40









상주시 청리면 청상리에는 남편의 외가가 있다.
내 시어머니의 친정이자 시아버지의 처가인 시골집에는 청상 외할머니가 혼자 살고 계신다.

얼마전에 그 청상에서 택배가 왔다. 
흙먼지가 잔뜩 묻은 푸대자루에는 커다란 배추와 작은 무들이 가득 들어있었다.
"올해는 배추.무가 하도 비싸다카이 내가 쪼메 부쳐봤어~!"
  
전화기 너머로 들리는 여든한살 외할머님의 목소리가 쟁쟁했다. 
청상 배추와 무로 끓이는 배추국과 무국은 요즘 연수가 제일 좋아하는 메뉴..
국에 말아주면 밥 한그릇 뚝딱이다.

산꼭대기 마을 청상의 이슬과 바람과 햇빛과
여든 한살 외증조할머니의 검버섯핀 손길과 마른 가슴팍으로 흘렀을 땀이 키운 배추와 무를 먹으며
내 몸속에도 그것들이 연하게 풀어진 된장국물과 함께 스며드는 기분이다. 

내일은 청상에서 사과가 온다고 한다.
어제 시아버님과 통화를 하다가 그 얘기를 들었을 때 나는 다시 외갓집 앞 들판과 산허리와 개울가 대숲같은 것들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었다.
지난 추석에 청상에서 찍어온 몇 장의 사진 생각도 났다.
언제고 꺼내봐야지했던 사진들을 찾아보았다.











청상은 아빠의 외가이니 연수에게는 진외가다.
진외가집 옆집에는 동갑내기 여자아이가 사는데 그 아이 엄마는 필리핀에서 한국으로 시집온 이주여성이다.
더 어릴때는 그저 멀뚱히 쳐다만 보던 아이들이 올 추석에는 같이 어울려 뛰어다니며 잘 놀았다.

아이들과 같이 놀다가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이 아이들이 커서 어른이 됐을 즈음에는 다문화가정이라고 부르는 이 이주여성의 아이들 중에서 이 세대를 대표하는 훌륭한 작가가 나오지 않을까... 하는.
내가 그렇게 생각한 건 이 아이들이 자연이 주는 천연의 감동을 제일 가까이 느끼고 받아들이며 자라고 있다는 것 때문이었다.
얼마전 미탄님의 블로그에서 보니 소설가 김영하씨도 나와 같은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 분은 이 아이들이 '관찰자'의 입장에서 한국 사회를 가장 날카롭게 직시할 것이란 이유에서였다.

여러 요인들이 있으리라.. 그러나 이 아이들 중에 훌륭한 작가와 예술가들이 많이 나오기를 바라고, 또 그렇게 되리라고 예측하는 것은 틀리지 않을 것 같다. 



























청상 외가에는 아궁이가 두 개 있다.
하나는 아랫방 구들장에 불을 때는 용도고, 하나는 부엌옆 가마솥을 끓이는 용도다.
가마솥에서 나오는 음식은 하나같이 따라가기 어려운 깊은 맛이 나고, 아랫방 아궁이에서 구워먹는 고구마 맛도 죽여준다. 

눈이 오는 겨울밤에 청상 외가 구들장에 앉아 군고구마를 까먹는 날이 올까.
그런 날이 내 삶에 있을까.
외풍은 세고, 아궁이의 불이 바로 올라오는 아랫목은 너무 뜨거워 궁둥이를 데지 않을까 걱정해야하는 그 시골집에서
하루밤 느긋하게 자고오는 날이 있을까.
갓난이 조무래기들이 좀 더 크면?
어린 아기들이 달린 젊은 손주들은 명절에도 늘 따순 물 나오고 외풍없는 상주시내 우리 시댁 아파트로 돌아와 자곤 했다. 
명절에 모여 자는 어른만 해도 작은 시골집 방은 늘 복작복작하므로 젖먹이 딸린 사람들은 시내에 나와 자는게 서로서로 편한 일이긴 하다. 
그러니 이 시골집에서 호젓하게 하루밤 자고 싶다면 명절 아닌 어느 한적한 때에 청상에 가야하리. 
그 때는 내 손으로 외할머니께 따순 밥 한끼 대접해야할텐데, 아직도 철없는 손부는 할 줄 아는 것도 변변히 없으니 참 큰일이다.











추석 명절에 대처에서 청상으로 모여든 자손들은 연휴 내내 일에 바빴다.
할머니 혼자 짓는 농사일에도 모처럼 큰 자리를 좀 내놓아야 하고, 오래된 시골집은 겨울을 앞두고 손볼 데가 한두군데가 아니기 때문이다.
아직 문풍지를 바르는 아랫방의 문짝 네 개를 떼서 깨끗이 씻고, 새 한지를 바르고 그 위에 하얀 플랑천(내가 대학다닐때 딱 그용도로 쓰던 천인데, 원래 이 천 이름이 뭔지를 모르겠다ㅠㅠ)을 덧발라 햇볕에 쨍쨍하게 말리고 다시 문을 다는 일도 큰 일 중 하나였다. 
문틀에 밀가루풀을 바르고 청상 할머니가 잘라주는 한지와 천을 받아 붙이는 나를 연수는 신기하게 바라보았다.
내심 이 일을 할 수 있어 나는 기뻤다. 
추석 명절에 설겆이와 전부치는 일말고 내가 할 수 있는 또다른 일이 있는 것이 고맙고 반가웠다.
더구나 이런 일은 내가 아주 좋아하는 일이다. 
 











새 문짝을 달아놓고 자손들은 모두 다시 도시로, 제 삶의 공간으로 돌아갔다.
겨울이 다 된 이 즈음에 할머니는 춥지 않으실까.
새 문짝은 산골짜기의 외풍을 어느만큼 막아주고 있을까.
할머니가 밀고 다니시는 낡디 낡은 유모차는 계속 잘 굴러갈까. 길이 얼면 미끄러울텐데..














얼마후면 이 마당에 다시 할머니의 세 딸들이 모여 김장을 할 것이다. 
제일 가까이, 상주 시내에 사는 큰딸인 우리 시어머니와 서울의 둘째 이모, 구미의 셋째 이모가 모여서
산더미처럼 쌓인 배추와 무를 솜씨좋게 양념에 비벼가며, 가마솥에서는 펄펄 끓는 물에 시래기를 삶고 따로 만든 국양념에 버무려서 즉석요리할 수 있는 국거리로 만들어내실 것이다. 
딸의 딸들과 며느리들에게까지 김장과 그 시래기국 건데기가 도착할 즈음이면 
화수분처럼 끝도 없이 먹을것을 퍼주느라 수고롭고 고단했던 청상의 한 해도 서서히 마무리되어 갈 것이다.

작년에는 젓먹이를 달고 있다는 이유로 바람찬 청상집 마당에 아예 얼씬할 생각도 하지 말라는 말을 들었던 나는
올해는 둘째를 품고 있는 까닭에 아마도 또 추운 날의 김장 전투에서 제외될 것이다.
김장같은 큰 일을 생각하면 겁부터 나는 아직도 철없는 초보주부에게는 다행스러운 일이지만
일년내내 든든하게 대놓고 먹는 제일 큰 반찬을 그저 고스란히 앉아서 받아먹는 마음은 죄송하기도 하다.
곧 내 손으로 김장을 하는 날이 오겠지... 과연 올까? 아마도 어떻게 엄두를 내보겠지만 지금 생각하면 참 막막하기만 하다.

끝도 없이, 식구들 입에 들어갈 그 많은 것들을 만들어내는데 한 생을 보낸 어머니들과 그 어머니의 어머니들을 생각하면 참 먹먹하기만 하다.




 


Posted by 연신내새댁